반응형
     1.  SPRING AOP 의 특징 

1)  스프링은 Aspect의 적용 대상(target)이 되는 객체에 대한 Proxy를 만들어 제공.
2) 대상객체(Target)를 사용하는 코드는 대상객체(Target)를 Proxy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접근
3) Proxy는 공통기능(Advice)을 실행한 뒤 대상객체(Target)의 실제 메서드를 호출하거나 대상객체(Target)의 실제 메소드가 호출된 뒤 공통기능(Advice)을 실행

AOP에 대해 자세하게 알기 전에 먼저 proxy에 대해 알아보자. 

* 프록시란?
프록시 서버는 기존의 핵심기능이 수행되는 순간 그 기능을 가로채어 앞뒤로 미리 설정된 프록시 기능을 수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프록시 패턴의 핵심원리는 기존의 기능의 앞, 뒤로 프록시 기능을수행만 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존 기능만 알아서 반복동작한다면 프로그래머는 앞뒤로 덧붙일 기능만 작성하면 됩니다.

다이나믹 프록시는 이런 원리에 입각하여 기존의 메서드를 전부 재작성할 필요 없이 하나의 메서드에 덧붙일 새로운 프록시 기능만 완성시키면 자동으로 모든 메서드에 동일한 프록시 기능을 생성시켜줍니다


기능 10개를 프록시로 작성한다면 늘어난 기능만큼 프록시를 작성해야 한다. 이런걸 막기 위해 자바에서 나온 개념이 바로 다이나믹 프록시이다.


MethodInterceptor 인터페이스: 스프링의 어드바이스를 작성하기 위해 구현해야 할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다이나믹 프록시 인터페이스입니다.
----> 우리가 MethodInterceptor를 구현하게 되면 반드시 invoke란 메서드를 구현해야 합니다. invoke메서드에 기존의 기능에 앞뒤로 덧붙이기만 하면 다이나믹 프록시가 완성됩니다. 그리고 이것을 포인트컷과 함께 어드바이저에 넘겨주면 끝 (용어를 모르겠다면 밑을 참고!)

     3.  용어 정리

1) 어드바이스(Advice): 특정 조인포인트에서 관점이 취하는 행동(action). "around", "before", "after" 어드바이스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어드바이스가 있다.  -  Joinpoint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코드

2) 조인 포인트(Join point): 메서드의 실행이나 예외 처리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의 어떤 지점이다. 스프링 AOP에서 조인포인트는 항상 메서드 실행을 나타낸다. - 특정 작업이 실행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3) 관점(Aspect): 여러 클레스에 걸친 관심사의 모듈 - Advice와 Pointcut을 합쳐서 하나의 Aspect라고 한다.

4) 포인트컷(Pointcut): 조인포인트를 매칭하는 것(predicate)이다. 어드바이스는 포인트컷 표현식과 연결되고 포인트컷이 매치한 조인포인트에서 실행된다. - Target 클래스와 Advice가 결합(Weaving)될 때 둘 사이의 결합규칙을 정의하는 것이다

5) Weaving : AOP에서 Joinpoint들을 Advice로 감싸는 과정을 Weaving이라고 한다. Weaving 하는 작업을 도와주는 것이 AOP 툴이 하는 역할이다.

6) Target : 실질적인 비지니스 로직을 구현하고 있는 코드

어드바이스(Advice)란 특정 조인포인트에서 관점이 취하는 행동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advice의 다양한 타입을 알아보자.

1) Before advice: joinpoint전에 수행되는 advice. 하지만 joinpoint를 위한 수행 흐름 처리(execution flow proceeding)를 막기위한 능력은 없다.
2) After returning advice: 메소드가 예외를 던지는것 없이 반환된다면 joinpoint 가 완성된 후에 수행되는 advice.
3) After throwing advice: 메소드가 예외를 던져서 빠져나갈때 수행되는 advice
4) After (finally) advice: join point를 빠져나가는 방법에 상관없이 수행되는 advice.
5) Around advice: 이것은 가장 강력한 종류의 advice이다. Around advice는 메소드 호출 전후에 사용자 정의 행위를 수행할수 있다. 짧게 수행하거나 예외를 던지는 것인지에 대해 책임을 진다.


    4. 포인트컷과 어드바이스

사실 설명만으로는 감이 잘 안올것이다. Spring에서 Aop 기술을 활용한 트랜잭션 예제를 살펴보며 이해하자.
저번 스터디때 트랜잭션은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그 중, 선언적 방법에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는 방법과 <tx:advice>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우리 프로젝트(toyproject)에는 어노테이션 방법을 쓸 것이지만 <tx:advice>에 대해 개념은 알아두어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 알아보자!

<tx:annotation-driven />
<aop:config>
     <aop:advisor advice-ref="transactionAdvice" pointcut="bean(*Service)" />
</aop:config>

<tx:advice id="transactionAdvice" transaction-manager="transactionManager">
<tx:attributes>
<tx:method name="exceptionPut" propagation="REQUIRES_NEW" />
<tx:method name="get*" propagation="REQUIRED" read-only="true" />
<tx:method name="*" />
</tx:attributes>
</tx:advice>

<bean id="transactionManager" class="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TransactionManager">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 />
</bean>


이 소스에 관해 하나씩 분석 해보자. 먼저 pointcut 에 관한 설명을 해보겠다.

<aop:advisor pointcut="bean(*Service)" advice-ref="transactionAdvice" />

"bean(*Service)"처럼 설정한다면 빈 중에서 Service로 끝나는 모든 빈을 선택하게 됩니다.

포인트컷은 학습테스트나 특별한 기능을 위해서라면 org.springframework.aop.Pointcu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따로 클래스로 만들 수도 있지만 보통은 위의 예제처럼 간편하게 <aop:advisor> 내에 위치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하나 이상의 포인트컷을 입력하고 싶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우리가 알아볼 것은 바로 어드바이스입니다.


<tx:advice id="transactionAdvice" transaction-manager="transactionManager">
<tx:attributes>
<tx:method name="exceptionPut" propagation="REQUIRES_NEW" />
<tx:method name="get*" propagation="REQUIRED" read-only="true" />
<tx:method name="*" />
</tx:attributes>
</tx:advice>

어드바이스는 포인트컷으로 선택한 빈에 적용될 부가기능을 뜻합니다. AOP는 트랜잭션만을 위한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어드바이스를 통해 포인트컷으로 선별될 빈(또는 클래스, 메서드)의 적용 기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우리가 적용할 부가기능은 바로 트랜잭션입니다.

이런 어드바이스는 org.aopalliance.intercept.MethodInterceptor를 구현하여 만들어집니다. ( MethodInterceptor 인터페이스: 스프링의 어드바이스를 작성하기 위해 구현해야 할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다이나믹 프록시 인터페이스라고 위에 설명해놓았다. 2번 참고.)

다음은 어드바이저이다.
포인트컷과 어드바이스를 통해 어드바이저를 만들고, 어드바이저는 어드바이스와 포인트컷의 정보를 참조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과 같은 그림을 보면 좀더 이해하기 편하겠다. 앞의  통 소스와 그림과 함께 보면 더욱 이해가 빠를 것이다.
5. 자동프록시생성기

<bean class="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autoproxy.DefaultAdvisorAutoProxyCreator" />

자동프록시생성기는 기본적으로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autoproxy.DefaultAdvisorAutoProxyCreator 클래스를 뜻합니다. 이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Advis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빈이 컨텍스트에 등록되었는지를 확인해주고 해당 어드바이저들에 정의되있는 포인트컷과 어드바이스를 해석하여 해당 요청이 왔을 때 자동으로 이 요청을 가로채어 프록시를 생성해줍니다. 사용법은 컨텍스트에 해당 빈을 생성해주기만 하는 것으로 끝이 납니다.

단, AOP 기술을 사용한다면  <aop:~>태그만 사용한다면 등록된 어드바이저들은 모두 자동프록시생성기를 통해 해당 포인트컷으로 클래스를 인터셉터하고 어드바이스에 등록된 기능을 수행한다는 보장한다. 


출처: http://truepia.tistory.com/275 [진실세상을 꿈꾸며]

http://egloos.zum.com/springmvc/v/498979

출처: http://devjms.tistory.com/70 [얼렁뚱땅 개발자]

출처  http://wiki.gurubee.net/pages/viewpage.action?pageId=26740833



반응형

'개발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외처리(1)  (0) 2020.10.01
Spring에서 Bean을 주입하는 방식  (0) 2020.03.16
SLF4J와 Logback  (1) 2018.06.26
Tiles란, Spring tiles3 적용법  (2) 2018.06.14
반응형
  1.  SLF4J 로깅 처리

  2. 세상에는 여러 Logger들이 존재한다. 무엇을 쓸지는 크게 상관없지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때는 한가지 선택 해야하고, 중요한 것은 의존된 라이브러리가 쓰고 있는 Logger도 잘 확인해야 함. 섞어 쓸 수도 있지만, logging을 제어하려면 하나로 통일 되야 좋다.  여기서 내가 쓰고 싶은 Logger로 통일하고 싶다면 방법은 SLF4J이다.

    SLF4J는 로깅 Facade입니다. 로깅에 대한 추상 레이어를 제공하는것이고 java로 따지면 interface덩어리 라고 보시면 됩니다. artifact이름도 api라고 부릅니다.

    • 사용방법 - pom.xml에 다음과 같은 의존을 추가한다

    <dependency>
      <groupId>org.slf4j</groupId>
       <artifactId>jcl-over-slf4j</artifactId>
      <version>1.7.7</version>
    </dependency>


    실행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public class Sample {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Sample.class);
      public void run() {
      logger.debug("debug");
      logger.info("info");
      }
    }


    하지만 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난다.

    SLF4J: Failed to load class "org.slf4j.impl.StaticLoggerBinder".SLF4J: Defaulting to no-operation (NOP) logger implementationSLF4J: See http://www.slf4j.org/codes.html#StaticLoggerBinder for further details.


    구현체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구현체란  commons logging, log4j, java util logging, logback 이런 종류의 로깅 구현체를 말한다. 



    1. Logback

    여러 구현체가 존재하지만 나는 Logback을 공부해왔고,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싶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system.out.println 한줄 남기는데 io 리소스를 너무 많이 먹어서 시스템이 느려짐
    - log4j는 메모리 관리를 따로해서 io쪽에서 메모리를 많이 안먹고 빠르다.
    - log4j를 막 쓰다 보니.. system.out.println 만큼 리소스를 먹게 된다..
    - 이를 보안하기 위해 logback이 개발 됨


    즉, “log4j“에서 제공을 하지 않는 기능 외에 다양한 이점이 있음.

    다양한 이점을 더 알고 싶다면 다음을 참고하자!


    1) logback의 3가지 컴포넌트

    “logback-core“는 말 그대로 핵심 코어 컴포넌트 입니다. “logback-classic“은 “slf4j“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만든 플러그인 컴포넌트 입니다.
    “logback-access“는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웹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빛을 바라는 컴포넌트 입니다.” HTTP 요청에 대한 강력한 디버깅 기능을 제공 합니다.”

    2) Graceful recovery from I/O failures

    “Log4j” 같은 경우 “JDBC” , “Socket“등 다양한 “Appender“를 지원 합니다.특히. 대다수의 환경에서는 “File”에 제일 많이 로그를 저장 할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파일 서버가 일시적으로 장애가 발생 할경우” , “파일 서버가 복구 될때까지”“어플리케이션을 중지 시켰다가” 다시 파일 서버가 복구되면, 그때 서버를 재기동 할것 입니다. 하지만 “LOGBack“은 “서버 중지 없이, 이전 시점부터 복구를 graceful “하게 지원을 합니다.

    3) Automatic removal of old log archives

    대부분 환경에서는 “하나의 파일”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 시간” 또는 “특정 파일 사이즈”로 “Rolling” 해서 “Archiving“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Archiving된 로그 파일“을 계속 유지하지 않고, 일정 기간 지나면 서비스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 파일을 삭제 할것 입니다.
    이럴경우 “Crontab” 또는 다른 삭제 스케줄러를 설정 또는 개발을 할것입니다.“LOGBack“은 “maxHistory“라는 설정 정보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Archive”
    파일을 자동 삭제 합니다.“maxHistory“의 값이 “12“일 경우, “12개월 이후 삭제 하라는” 뜻입니다.

    4) Lilith
    “Lilith“은 “현재 발생하는 로그 이벤트에 대한 상태 정보를 볼수 있도록 지원 하는
    뷰어” 입니다.“log4j“를 지원하는 “chainsaw” 와 비슷한 기능을 합니다. 다만 차이점은 “Lilith” “Large data“를 지원 합니다.

    5) Conditional processing of configuration files

    빌드를 해본 사람이라면 아실듯 합니다. 빌드시 제일 골치가 아픈 것이 “config” 정보 와 “log file path” 입니다.
    이유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는 환경이 “로컬, staging, cbt” 마다 틀리기 때문 입니다. 이런점을 해결 하기 위해서 “Maven Filter” 기능을 사용 하거나, “JVM -D환경변수“를 통해서 각 환경 마다 선택적으로 “log 설정파일“을 선택하도록 구성을 할 것입니다.
    “LOGBack“은 이런 이슈를 좀더 “Graceful“하게 지원을 합니다. “JSTL” 같이 분기 스크립트 (<if>, <then> and <else>)를 제공해서 하나의 파일에서 다양한 빌드 환경을 제공 하도록 지원을 합니다.

    6) Filters

    “Filter” 기능은 “Log4j“에서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주 기능은 “로깅을 남길지 , 말지를”핸드링 할수 있는 기능 입니다.
    좀더 이해를 돕기 위해서 “UseCase“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만약 “A“라는 사용자에게 비즈니스적으로 문제점이 발견이 되었습니다.이럴경우는 “logical exception“이기 때문에 원인을 잡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또한 현재 “운영 서버“의 “Log LEVEL“이 “ERROR“일 경우 로그를 확인 할수가 없을것입니다. 더욱이  “운영 서버 logical exception“은 “staging” 환경과 데이터가 틀리기 때문에실제 운영 로그를 확인하지 않고서는 재현을 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운영 서버의 로그 레벨“을 “DEBUG“로 수정합니다. 하지만 로그는 보이지만 전체 사용자가해당이 되기 때문에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럴 경우 “Filter“를 사용해서 “다른 사용자“는 “ERROR” 레벨을 유지하고 ,"A” 사용자만 “DEBUG“로 설정을 하면, 분석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7) SiftingAppender

    “SiftingAppender“는 “Filter“의 기능과 유사하면서 다른 기능을 제공 합니다 “로그 파일을 특정 주제별로 분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서 “HTTP Session“별로 로그 파일을 저장한다거나, “사용자별“로 별도의 로그파일을 할 수 있습니다.

    8) Logback-access, i.e. HTTP-access logging with brains, is an integral part of logback

    위에서 언급했듯이 “logback-access“는 “웹 어플리케이션” 사용시 유용한 툴로써 제공 됩니다.특히나 요새는 전통적인 “HTML” 출력이 아닌 “REST 서버“로써의 역할을 많이 합니다. 이럴 경우 “HTTP 디버깅“을 제공 합니다.


    3. Logback 실습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context</artifactId>
      <version>3.2.4.RELEASE</version>
    </dependency>

    하지만 spring-context는 jarkarta commons logging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이렇게 두면 commons-logging이 의존성에 추가 됩니다. 여기서는 logback을 쓰려고 하니 관련라이브러리는 제거합니다.

    ** 제거하는 방법

         1) pom.xml




    2) Dependency Hierarchy -> commons-logging 우클릭 -> exclude maven artifact


    3) ok


    4) pom.xml에 추가 됬는지 확인





    5)  logback 은 logback-core, logback-classic, logback-access의 3개의 모듈이 있습니다. core는 classic과 access의 공통라이브러리입니다. maven repository를 쓴다면 classic만 추가하면 관련 라이브러리가 추가 됩니다.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ch.qos.logback</groupId>
      <artifactId>logback-classic</artifactId>
      <version>1.1.2</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이것만 사용하면 기본적인 Log는 사용 가능하다. 

    import ch.qos.logback.classic.LoggerContext;
    import ch.qos.logback.core.util.StatusPrinter;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public class Tutorial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Tutorial.class); 
     // Logger은 꼭 private static이 붙어야 한다. getLogger(클래스명.clss) 적어라.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gger.trace("trace");
      logger.debug("debug");
      logger.info("info");
      logger.warn("warn");
      logger.error("error");
      }
    }

    ** Logger들은 Tree Hierarchy 구조로 level을 적용 받을수 있다.




    TRACE > DEBUG > INFO > WARN

    ALL : TRACE와 같음 나중에 확장을 위한것으로 보임.
    TRACE : TRACE, DEBUG, INFO, WARN, ERROR
    DEBUG : DEBUG, INFO, WARN, ERROR
    INFO : INFO, WARN, ERROR
    WARN : WARN, ERROR
    ERROR : ERROR
    OFF : 출력하지 않음

    여기까지 표준이다. 하지만, 좀 더 기능을 확장하고 싶다면 logback.xml을 작성해야 한다.


    Logback.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logback이 구동될때 logback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ppender name="STDOUT" class="ch.qos.logback.core.ConsoleAppender">
      <layout class="ch.qos.logback.classic.PatternLayout">
      <Pattern>%d{HH:mm} %-5level %logger{36} - %msg%n</Pattern>
      </layout>
      </appender>

      <logger name="example.logback.level.grandparents" level="TRACE"/>
    //example.logback.level.grandparents 이하 모든 Logger들의 level은 TRACE라는 설정입니다.

      <logger name="example.logback.level.grandparents.parents.children" level="INFO"/>
    //example.logback.level.grandparents.parents.children 이하 모든 Logger들의 level은 INFO라는 설정입니다.

      <root level="DEBUG">
                 <appender-ref ref="STDOUT" />
      </root>
    // 모든 대상에 STDOUT Appender를 적용하고 level이 DEBUG이하인것만 처리로 설정됩니다.
    </configuration>



    1. Appender
    Event마다 Log를 기록하는 기능은 Appender가 처리합니다. 그래서 Logger는 어떤 appender에 해당이 되어 처리 되는게 중요합니다. Appender를 설정하더래도 log출력에 해당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습니다.  Appender는 출력될 형식을 직접 가지고 있지 않고, 해당 기능은 Layout과 Encoder에 위임을 합니다.


    <appender name="STDOUT" class="ch.qos.logback.core.ConsoleAppender">
      <!-- encoders are assigned the type
      ch.qos.logback.classic.encoder.PatternLayoutEncoder by default -->
      <encoder>
      <pattern>%-4relative [%thread] %-5level %logger{35} - %msg %n</pattern>
      </encoder>
    </appender>

    Appender의 종류 - ConsoleAppender (콘솔로 찍음), FileAppender(파일에 로그남김), RollingFileAppender(rolling 정책이용) ,  EventEvaluator(이벤트 기능으로 로그 남김)

    1) ConsoleAppender 

    <appender name="STDOUT" class="ch.qos.logback.core.ConsoleAppender">
      <!-- encoders are assigned the type
      ch.qos.logback.classic.encoder.PatternLayoutEncoder by default -->
      <encoder>
      <pattern>%-4relative [%thread] %-5level %logger{35} - %msg %n</pattern>
      </encoder>
    </appender>

    PatternLayoutEncoder는 pattern으로 받은 값을 이용해서 PatternLayout을 생성하고 PatternLayoutEncoder는 log message를 byte[]로 변환하는 기능도 포함합니다. 이로써 Appender는 Layout기능과 Encoder기능을 모두 가지게 됩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OutputStreamAppender는 byte[]를 OuputStream에 write하게 됩니다.

    2) FileAppender

    <!-- Insert the current time formatted as "yyyyMMdd'T'HHmmss" under
      the key "bySecond" into the logger context. This value will be
      available to all subsequent configuration elements. -->
    <timestamp key="bySecond" datePattern="yyyyMMdd'T'HHmmss"/>
    <appender name="FILE" class="ch.qos.logback.core.FileAppender">
           <file>log-${bySecond}.txt</file>
           <append>true</append>
      <!-- encoders are assigned the type
      ch.qos.logback.classic.encoder.PatternLayoutEncoder by default -->
      <encoder>
      <pattern>%-4relative [%thread] %-5level %logger{35} - %msg%n</pattern>
      </encoder>
    </appender>

    로그가 저장될 file을 선언하고, ConsoleAppender처럼 encoder,pattern을 선언하게 되면, log event를 지정된 file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때 파일 포맷중 날짜형식은 java.text.SimpleDateFormat을 따릅니다.

    3) RollingFileAppender
    롤링 정책 적용. 최대 파일 용량 설정가능

    <appender name="ROLLING" class="ch.qos.logback.core.rolling.RollingFileAppender">
      <file>mylog.txt</file>
      <roll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TimeBasedRollingPolicy">
      <!-- rollover daily -->
      <fileNamePattern>mylog-%d{yyyy-MM-dd}.%i.txt</fileNamePattern>
      <timeBasedFileNamingAndTrigger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SizeAndTimeBasedFNATP">
      <!-- or whenever the file size reaches 100MB -->
      <maxFileSize>100MB</maxFileSize>
      </timeBasedFileNamingAndTriggeringPolicy>
      </rollingPolicy>
      <encoder>
      <pattern>%msg%n</pattern>
      </encoder>
    </appender>

    <fileNamePattern> 확장자에 .zip을 선언하면 새로운 file 이 생성될때 이전 파일은 .zip으로 압축을 할수 있습니다.

    4) EventEvaluator
    이벤트 설정. 아래 예는 이메일 설정한 예이다. 이메일 로그 설정 관련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다면  https://sonegy.wordpress.com/2014/06/03/235/ 출처 참고!

    <appender name="EMAIL" class="ch.qos.logback.classic.net.SMTPAppender">
      <smtpHost>****</smtpHost>
      <smtpPort>25</smtpPort>
      <to>****</to>
      <to>****</to>
      <from>****</from>
      <subject>PRODUCT-PCS: %logger{20} - %m</subject>
      <layout class="ch.qos.logback.classic.PatternLayout">
      <Pattern>%d{HH:mm} %-5level %logger{36} - %msg%n</Pattern>
      </layout>
    </appender>


    ** 공통으로 적용되었던 Layout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 %logger{length}: Logger name의 이름을 축약할 수 있습니다. {length}는 최대 차릿수 입니다.
    • %thread: 현재 Thread name
    • %-5level: log level -5는 출력 고정폭 값
    • %msg: log message %message은 alias
    • %n: new line

    로그 적용시 에러관련 

    출처: http://madeinjeon.tistory.com/18 [Jeon's blog]



반응형

'개발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외처리(1)  (0) 2020.10.01
Spring에서 Bean을 주입하는 방식  (0) 2020.03.16
SPRING AOP  (0) 2018.07.02
Tiles란, Spring tiles3 적용법  (2) 2018.06.14
반응형
<Tiles 기본>
  1.  tiles 란?
-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header, footer와 같은 정보를 한곳에 모아둔 프레임 워크

  1.   tiles3로 오면서 설정이 더욱 간단해 졌다. tiles3는 spring3.2 버전 이상부터 쓰일 수 있으니 참고바람.

  1.     pom.xml에 3가지 dependency를 추가한다.

pom.xml

<dependency>
    <groupId>org.apache.tiles</groupId>
    <artifactId>tiles-extras</artifactId>
    <version>3.0.0</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apache.tiles</groupId>
    <artifactId>tiles-jsp</artifactId>
    <version>3.0.0</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apache.tiles</groupId>
    <artifactId>tiles-servlet</artifactId>
    <version>3.0.0</version>
</dependency></p>


  1.    tiles를 유동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우선 모든 view들은 tiles를 정의한 tiles 설정 파일의  definition들에서
binding될 jsp 등의 view 파일들을 찾게됩니다. 만약 각 views.xml에서 view 파일을 못찾게 되면 우선순위가 2인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에서 해당 view 파일을 찾게 됩니다.

참고 >> 
view resolver
- View Resolver는 Spring의 DispatcherServlet이 Controller의 응답 결과를 가져올 때, 어떤 방식으로 view 객체를 가져올지 정하고 해당 객체를 생성한다.
- View Resolver를 구현한 클래스는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BeanNameViewResolver, XmlViewResolver, UrlBasedViewResolver 등이 있다.
- DispatcherServlet은 여러개의 ViewResolver를 가질 수 있는데, 'order' property에 따라 어떤 ViewResolver를 결정할지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를 명시하지 않으면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 우선순위가 높은 ViewResolver에게 View 객체를 요청하는데, 만약 null을 리턴한다면 그 다음 우선순위의 ViewResolver에게 객체를 요청하게 된다.
- InternalResourceViewResolver는 항상 mapping되는 view 객체를 리턴하고, 없다고 null을 반환하지 않으므로 항상 가장 낮은 우선순위로 두어야한다.



dispatcher-servlet.xml

<bean id="tilesViewResolv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UrlBasedViewResolver">
  <property name="viewClass" value="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tiles3.TilesView" />
  <property name="order" value="1" />
</bean>

// tiles의 우선순위를 1로 설정해둔다.

 <bean id="viewResolv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views/"/>
  <property name="suffix" value=".jsp"/>
  <property name="order" value="2"></property>
 </bean>

//기존에 써있던 view resolver 에서 우선순위만 바꿔줬다.


<bean id="tilesConfigur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tiles3.TilesConfigurer">
  <property name="definitions">
  <list>
  <value>/WEB-INF/tiles/tiles.xml</value>
  </list>
  </property>
</bean>

//tiles관련 설정파일 
//만약 여러개 하고 싶다면 list의 value를 추가해주면 된다.


  1. 다음은 tiles 설정파일 tills.xml

<!DOCTYPE tiles-definitions PUBLIC "-//Apache Software Foundation//DTD Tiles Configuration 3.0//EN" "http://tiles.apache.org/dtds/tiles-config_3_0.dtd">

<tiles-definitions>
  <definition name="default" template="/WEB-INF/views/layout/layout.jsp">
  <put-attribute name="header" value="/WEB-INF/views/layout/header.jsp" />
  <put-attribute name="body" value=""/>
  <put-attribute name="footer" value="/WEB-INF/views/layout/footer.jsp" />
  </definition>

//기본적인 defiinition 태그를 하나 만들어둔다.

  <definition name="tiles" extends="default">
<put-attribute name="body" value="/WEB-INF/views/layout/mainTest.jsp" />
</definition>

//  defiinition 을 상속받아 여러 타일즈를 만들수 있다.

</tiles-definitions>


빨간색으로 표시한 definition name="tiles" <- 이부분이 중요하다.  이부분때문에 오류가 많이난다.

  1. layout.jsp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taglib prefix="tiles" uri="http://tiles.apache.org/tags-tiles"%>
<!DOCTYPE html>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head>

<body>
  <div id="wrap">
  <div >
  <div>
  <div>
  <tiles:insertAttribute name="header" />
  </div>
  </div>
  <div>
  <div>
  <tiles:insertAttribute name="body" />
  </div>
  </div>
  <div>
  <div>
  <tiles:insertAttribute name="footer" />
  </div>
  </div>
  </div>
  </div>
</body>
</html>



기본적으로 만들고 싶은 틀을 html 형식으로 만들어 준다.    <tiles:insertAttribute name="footer" /> 의 name은 tiles.xml에서 설정한 name과 같아야 한다. 

  1. Controller mapping 추가

@RequestMapping(value = "/test",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hello(Locale locale, Model model) {

  Date date = new Date();
  DateFormat dateFormat = DateFormat.getDateTimeInstance(DateFormat.LONG, DateFormat.LONG, locale);

  String formattedDate = dateFormat.format(date);

  model.addAttribute("serverTime", formattedDate );
  return "tiles";
  }


return 값과 definition에서 정의한 name이 반드시 일치하게 해야 404 에러가 안난다. 기본적인 설정은 완료하였다. 
응용버전은 추후 추가하도록 하겠다.

  1. 기본적인 부분 완성!  - header.jsp , footer.jsp, mainTest.jsp 는 커밋해놓았으니 각자 코드를 확인해보기 바란다!



<Tiles 응용>
앞서 소개한 tiles 를 우리 프로젝트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해보겠다.





우리가 앞서 소개한 부분은 defulat이다. 근데 나는 left 메뉴가 있는화면도 필요하다면 tiles.xml에 <definition>을 추가할 수 있다.


<!DOCTYPE tiles-definitions PUBLIC "-//Apache Software Foundation//DTD Tiles Configuration 3.0//EN" "http://tiles.apache.org/dtds/tiles-config_3_0.dtd">

<tiles-definitions>
  <definition name="default" template="/WEB-INF/views/layout/layout.jsp">
<put-attribute name="header" value="/WEB-INF/views/layout/header.jsp" />
<put-attribute name="body" value=""/>
<put-attribute name="footer" value="/WEB-INF/views/layout/footer.jsp" />
  </definition>

<1>
  <definition name="withLeft" template="/WEB-INF/views/layout/layout_left.jsp">
<put-attribute name="header" value="/WEB-INF/views/layout/header.jsp" />
<put-attribute name="left" value=""/>
<put-attribute name="body" value=""/>
<put-attribute name="footer" value="/WEB-INF/views/layout/footer.jsp" />
  </definition>  

  <definition name="tiles" extends="default">
<put-attribute name="body" value="/WEB-INF/views/layout/mainTest.jsp" />
</definition>

<2>
<definition name="user/*/*" extends="withLeft">
<put-attribute name="left" value="/WEB-INF/views/layout/left.jsp"/>
<put-attribute name="body" value="/WEB-INF/views/{1}/{2}.jsp" />
</definition>



</tiles-definitions>


<1>  template을 다르게 해서  definition을 추가했다. 이를 상속받아 <2>를 추가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2>번이다. 다들 이를 응용하여 개발하면 된다.
definition name="/" -- > controller mapping 형태를 말한다. 

참고>>>
definition name 형식 -
- ? : 한 글자, * : 아무글자나, [abc] : abc로 시작

IssueController.java
@RequestMapping(value={"/issue/list"} ,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showIssueList(HttpServletRequest request) {
return "issue/issueList";
}
}


/issue/list를 매핑하여  issue/issueList를 return 한다.
그러면  issue가 {1}  issueList가 {2}가 된다.
즉 issue 폴더 아래에 있는 issueList에 적용한다는 것이다.


http://localhost:8081/toyProject/issue/list  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layout_left.jsp 가 적용된 화면이니 이를 응용하여 프로젝트에 활용하면 된다 . 끝!







출처: http://creator1022.tistory.com/176 [무한도전]







반응형

'개발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외처리(1)  (0) 2020.10.01
Spring에서 Bean을 주입하는 방식  (0) 2020.03.16
SPRING AOP  (0) 2018.07.02
SLF4J와 Logback  (1) 2018.06.26
반응형
zookeeper(주키퍼)란?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해주는 시스템

분산처리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서버가 몇대에서 수백대까지도 구축 가능 
- 이런 환경에서는 예상치 못하는 예외적인 부분이 많이 발생 (네트워크장애, 일부 서비스 기능 중지, 서비스 업그레이드 및 확장)

즉, 싱글 서버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멀티 서버 관리를 하면 문제가 될 수도 있는ㄷ 이러한 문제점들을 쉽게 해결해준다.

1)  네임서비스를 통한 부하분산
- 하나의 서버에만 서비스가 집중되지 않게 서비스를 알맞게 분산해 각각의 클라이언트들이 동시에 작업하게 해준다
- DNS 서버에 어느 서버로접속해야 하는지 물어보고 나서 직접 서버에 연결하는 방식

2) 데이터의 안정성 보장
- 하나의 서버에서 처리한 결과를 다른 서버들과 동기화하여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3) 장애상황 판단 및 복구
- 운영서버에 문제가 발생해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다른 대기중인 서버를 운영 서버로 바꿔서 서비스가 중지없이 제공되게 한다.

4) 환경설정 관리
분산환경을 구성하는 서버의 환경설정을 따로 분산하지 않고 주키퍼 자체적으로 관리한다.

주키퍼는 다중의 서버 집합을 묶어서 관리해주는 시스템인데 그 중에서도 리더가 되는 서버 하나가 존재한다.
모든 서버의 중심이 되는 서버, 또한 하나의 서버에서 처리가 되어 데이터가 변경되면 모든 서버에 전달되어 동기화를 하게 된다.

분산 환경에서의 주키퍼 서버는 일반적으로 세대 이상을 사용하고 홀수로 구성한다. - 과반수룰을 적용하기 위해

SPOF(single Point Of Failure) 처리

액티브 서버 : 현재 서비스를 하고있는 서버

스탠바이 서버 : 장애 발생시 대처하기 위한 대기 서버

동작중이던 액티브 서버가 장애가 발생 할 경우 관리시스템이 판단하여 기존의 스탠바이 서버를 액티브 서버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처리


주키퍼의 기본 구조와 상세 활용법에 대해서는 추후 업로드 하도록 하겠다.




출처: http://creatorw.tistory.com/entry/2-주키퍼zookeeper-기본-구조 []

출처: http://creatorw.tistory.com/entry/2-주키퍼zookeeper-기본-구조 []
출처 : http://exem-academy.com/?p=2927


반응형
반응형
 Cache 란 무엇인가부터 개념을 잡아야 한다.
 Cache는 빠른 속도를 위해서 사용하게 된다.

 Cache를 사용하게 되면, 보통 Key-Value 타입을 사용하게 되면, 쿼리를 파싱하는 시간도 없어지고, 훨씬 접근 속도가 빠른 메모리에서 읽어오게 되기 때문에, 거기서 많은 속도 차이가 나게 됩니다. 다음은 DB 서버의 CPU 사용량입니다. Cache를 적용한 이후부터, 전체적으로 Wait I/O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elect와 Qcache_hits 는 거의 1/10 수준으로 줄어버립니다. DB서버로의 요청이 줄어버려서, 전체 서비스가 좀 더 큰 요청이 들어와도 버틸 수 있게 해줍니다.

캐싱(Caching)은 말 그대로 미리 읽어두었다가 요청이 올 경우 빠르게 응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데이터가 필요없고 데이터 역시 계속 유지될 필요가 없기에 Redis처럼 적은 공간의 데이터베이스에 최적이다.

Redis - REmote DIctionary System
여러 솔루션 중 하나로 메모리를 사용하는 키, 밸류 형식의 데이터베이스

-  DB 종류에는 RDBMS, NOSQL, IN-memory  방식이 있다.

1)  RDB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둘의 관계를 나타내줄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한다.
추가적으로 RDB에서는 근본적으로 null값을 허용하지 않음
- 해당 데이터의 모델의 정의가 확실해야 한다.
- 트랜젝션이라고 하는 처리 단위를 중요시 여김.
-데이터의 모델이 확실하고 하나하나의 처리가 확실해야 한다

2) NOSQL
데이터를 막 저장을 하자 다만 데이터의 고유성을 알아야 하니 키값만 만들어 두자

3) IN-MEMORY
하드 기반이 아닌 메모리 기반의 디비
- 말 그대로 데이터를 HDD가 아닌 memory에 저장하는 기술
- get, put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다.
인 메모리 기반의 디비는 key:value의 형태로 저장이 되지만 redis의 경우 value가 단순한 objet가 아닌 자료구조를 갖는 점에서 다른 인 메모리 기반의 디비와 큰 차이를 보입니다.
- 메모리는 휘발성 - 캐싱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나왔지만, 하드 저장이 가능해짐


대부분 Redis를 보조 데이터베이스 역할로 그 가치를 최대한 끌어내어 활용하고 있다. 그 중 Redis에 가장 적합한 것이 바로 데이터베이스 캐싱(Caching)이다.

Redis는 별도 서버로 구축되어 주서버와 지속적인 서비스를 주고 받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요즘은 하나에 모든 것을 관리 운영하기 보다 각각의 기능, 필요에 따른 마이크로 서비스(Micro Service) 형태로 많이 운영되어진다. 


Redis의 내부구조

영속성을 지원하는 인메모리 데이터 저장소다.
레디스는 고성능 키-값 저장소로서 문자열, 해시, 셋, 정렬된 셋 형식의 데이터를 지원하는 NoSQL이다
장점은 익히기 쉽고 직관적인 데 있고, 단점은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방법에 제한이 있다는 데 있다.


1) key/value Store
기본적으로 Key/Value Store이다. 특정 키 값에 값을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기본적인 PUT/GET Operation을 지원한다.

2) 다양한 데이타 타입
Value가 단순한 Object가 아니라 자료구조를 갖는다고 앞서 언급하였다.  redis가 지원하는 데이타 형은 크게 아래와 같이 5가지가 있다.


** 각 타입의 명령어는 해당 링크를 통해 진입 가능 하다. 사용할때 참고할 것.

(1) String
일반적인 문자열로 최대 512mbyte 길이 까지 지원한다.
Text 문자열 뿐만 아니라 Integer와 같은 숫자나 JPEG같은 Binary File까지 저장할 수 있다.

(2) Set
set은 string의 집합이다. 여러개의 값을 하나의 Value 내에 넣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되며 블로그 포스트의 태깅(Tag)등에 사용될 수 있다.
재미있는 점은 set간의 연산을 지원하는데, 집합인 만큼 교집합, 합집합, 차이(Differences)를 매우 빠른 시간내에 추출가능하다

(3) Sorted Set
set 에 "score" 라는 필드가 추가된 데이타 형으로 score는 일종의 "가중치"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sorted set에서 데이타는 오름 차순으로 내부 정렬되며, 정렬이 되어 있는 만큼 score 값 범위에 따른 쿼리(range query), top rank에 따른 query 등이 가능하다.

(4) Hashes
hash는 value내에 field/string value 쌍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타 구조체이다.
RDBMS에서 PK 1개와 string 필드 하나로 이루어진 테이블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5) List
list는 string들의 집합으로 저장되는 데이타 형태는 set과 유사하지만, 일종의 양방향 Linked List라고 생각하면 된다. List 앞과 뒤에서 PUSH/POP 연산을 이용해서 데이타를 넣거나 뺄 수 있고, 지정된 INDEX 값을 이용하여 지정된 위치에 데이타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출처:



http://develop.sunshiny.co.kr/1001



반응형
반응형

Producer(생산자)가 Message를 Queue에 넣어두면, Consumer가 Message를 가져와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굳이 이런 시스템이 필요할까..? 한번 더 거치게 되면 더 느려지는게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한바 있지만 다시 한번 말씀드리자면, Client와 동기방식으로 많은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되면 병목현상이 생기게되고, 서버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이런 현상을 막고자하여 또 하나의 미들웨어에 메시지를 위임하여 순차적으로 처리를 하는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메시징 시스템이나 RabbitMQ 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용어

Producing : 메시지를 전송한다는 의미
producer :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producer 라 부릅니다. 
Queue: mailbox를 의미하며 RabbitMQ 시스템 내에 위치. consumer 대신에 RabbitMQ가 보관하는 메시지 버퍼
외부연동 서버에서 이 비동기 처리를 쉽게 구현하기 위하여 MQ(Message Queuing)를 사용한다.


AMQP

인스턴스가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때 사용하는 방법
MQ를 오픈 소스에 기반한 표준 프로토콜이 AMQP(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이다.
AMQP 자체가 프로토콜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프로토콜을 구현한 MQ제품들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RabbitMQ이다.

AMQP의 구성요소와 라우팅 알고리즘

Exchange : Publisher(Producer)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큐에 분배하는 라우터의 역할
Queue : 메시지를 메모리나 디스크에 저장했다가 Consumer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
Binding : Exchange Queue의 관계를 정의

 Exchange Type 
 메시지를 어떠한 방법으로 라우팅할지 결정하는 일종의 알고리즘

1) Direct exchange
1:1 관계로 Unicast 방식에 적합, 운드 로빈 방식으로 여러 workers(Consumer) task를 분리
Exchange에 바인딩 된 Queue 중에서 메시지의 라우팅 키와 매핑되어 있는 Queue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2) Fanout exchange
메시지의 라우팅 키를 무시하고 Exchange에 바인딩 된 모든 Queue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1:N 관계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3) Topic exchange

Exchange에 바인딩 된 Queue 중에서 메시지의 라우팅 키가 패턴에 맞는 Queue에게 모두 메시지를 전달, Multicast 방식에 적합하다.


4) Headers exchange
라우팅 키 대신 메시지 헤더에 여러 속성들을 더해 속성들이 매칭되는 큐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RabbitMQ AMQP를 구현한 오픈 소스 메시지 브로커 소프트웨어로 Publisher(Producer)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Consumer에게 라우트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이를 이용하면 작업 큐발행 및 구독라우팅주제원격 프로시저 호출 등의 모델을 구현할 수 있으며이 글에서는 작업 큐를 구현하는 방법을 다룬다.

RabbitMQ의  Exchange Type 

RabbitMQ AMQP를 구현하였기 때문에 아래의 표와 같이 Exchange Type이 미리 선언된 이름으로 정의되어 있다참고로 작업 큐는 Direct exchange가 적합하다

1) Direct exchange - (Empty string) and amq.direct
 참고) AMQP 정의 : 바인딩 된 Queue 중에서 메시지의 라우팅 키와 매핑되어 있는 Queue로 메시지를 전달(1:1)
2) Fanout exchange - amq.fanout
 참고) AMQP 정의 : 메시지의 라우팅 키를 무시하고 Exchange에 바인딩 된 모든 Queue에 메시지를 전달(1:N)
3) Topic exchange -amq.topic
 참고) AMQP 정의 : Exchange에 바인딩 된 Queue 중에서 메시지의 라우팅 키가 패턴에 맞는 Queue에게 모두 메시지를 전달(Multicast)
4) Headers exchange - amq.match (and amq.headers in RabbitMQ)
 참고) AMQP 정의 : 라우팅 키 대신 메시지 헤더에 여러 속성들을 더해 속성들이 매칭되는 큐에 메시지를 전달

https://www.evernote.com/shard/s479/sh/ddbec3f0-84fd-45c6-87d7-952a672341f1/ce289238f23c99a9b2e1a45b41c770a9
출처: http://itstory.tk/entry/Message-Queue-RabbitMQ란 [덕's IT Story]
출처: http://heowc.tistory.com/35 [허원철의 개발 블로그]
출처: https://m.blog.naver.com/tmondev/220419853534


반응형

'개발공부 > RabbitMq'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bbitMq(2)  (0) 2018.07.11
반응형

1. 재귀방식 짜봐라

재귀 방식이 특히나 면접에서 두번이나 나올만큼 많이 나왔다.


재귀함수란? 어떤 함수에서 자신을 다시 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의 함수를 의미합니다. 


재귀함수를 작성할 때는 함수내에서 다시 자신을 호출한 후 그 함수가 끝날 때 까지 함수 호출 이후의 명령문이 수행되지 않는 다는 사실과 종료조건이 꼭 포함 되어야한다는 부분을 인지하고 작성하면 무한루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recursive(int n) {

if(n == 0) {

system.out.println("종료");

// 탈출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 대부분에 면접에서 이것을 안써서 탈락한듯 하다.


else {

system.out.println("n");

recursive(n-1);

}

}


recursive(10);


2. 선택정렬

3. 링크드리스트

4. 큐 스택




반응형

'개발공부[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개발자 면접 예상 질문  (4) 2018.05.24
반응형

웹개발 경력 2년, 면접을 볼 때 그동안 나왔던 질문과 예상 질문들을 정리해보려 한다.

먼저, 이번은 웹과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문제이다.





1. JSPServlet 차이?

- 이건 그 회사 잡플래닛에 있길래 정리해봄

- 정답 : 


JSP와 서블릿은 자바 기반으로 만들어진 웹 프로그래밍 언어


JSP는 페이지 요청이 있을 시에는 최초로 한번 자바 코드로 컴파일 된다.

서블릿과 JSP는 상호 연계되어 JSP에서 정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서블릿은 보다 동적은 처리를 위한 부분으로 사용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Servlet

servlet은 톰캣 위에서 동작하는 java 프로그램입니다.
WAS 를 통해 컴파일 된 후 메모리에 적재되어 클라이언트의 HTTP Get, Post 등의요청을 처리하는 자바 프로그램임.

JSP

HTML을 코딩하기 너무 불편해서, HTML 내부에 Java 코드를 삽입하는 형식
JSP 라는 새로운 개발 방법이 나왔지만, 사실 이 JSP 도 내부적으로는 Tomcat 이 Servlet 으로 바꾸어서 돌립니다

단순히 JSP 만 사용하거나, Servlet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개의 장단점을 모두 취해 View 는 JSP로, Controller 는 Servlet 을 사용한 것이 바로 Model2 지요. 보여지는 부분은 HTML이 중심이 되는 JSP, 다른 자바 클래스에게 데이터를 넘겨주는 부분은 Java 코드가 중심이 되는 Servlet 이 담당하게 됩니다. 그리고 Model 영역 에서는 DTO, DAO를 통해 Mysql 과 같은 Data Storage 에 접근합니다.



출처: http://anster.tistory.com/128 [Old Lisper]


2. ajax?

- 실제로 면접에서 나온 질문이다.

문법 


$.ajax({

url: , //주소

type:, //get방식, post방식

data:, // 파라미터

dataType:, // 받을때 데이터 형식

Async:,    //비동기 통신 플래그


true가 비동기, false가 동기  - 동기는 모든 처리가 끝난 후 다음 처리로 넘어간다.

비동기는 동시에 한다.


sucssess:function(response){

}, // 성공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졌을 때 처리하고 싶은 함수

error:function(error){

} //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처리하고 싶은 함수

});


결과를 바꾸기 위해서 ajax에서 해야할일?

suncess:function(response) {

$().html("xx); // 바꾼다.

}


3. html doctype?

이 소스를 읽을때 이 웹 문서가 html5로 작성되었음을 알려준다.

웹페이지 문서 종류를 알려주는 선언문

웹페이지 제일 처음에 선언되어야 하는 것

어떤 버전의 html 문서로 작성했는지 브라우저에게 알려줌 - 브라우저가 내용을 올바르게 출력하도록 도와준다.



4. get방식과 post 방식?

1) GET

URL 뒤에 ?를 붙여 구분하는 방식, 여러개일 경우 &로 구분한다.

현재, IE를 제외하고 GET방식으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제한이 없다고 한다.

민감한 정보를 전송하면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크다.


2) POST

get과 달리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그대로 노출되지 않으며, 전송량에 제한이 없다.

http body에 포함되어 전달됨으로서 파라미터 노출이 안된다.


5. Spring framework?


1) 경량 컨테이너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각자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 있다.


2) 스프링은 POJO 방식의 프레임워크

-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를 지원하기에 용이하고 객체가 가볍다


3) 제어반전 - 컨트롤의 제어권이 사용자가 아니라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프링에서 사용자의 코드를 호출한다.


4)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을 지원한다. - 각각의 계층이나 서비스들간에 의존성이 존재할 경우 프레임워크가 서로 연결


5) AOP - 트랜잭션이나 로깅, 보안과 같이 여러 모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의 경우 해당 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Framework : 개발할 때 설계 기본이 되는 뼈대나 구조 / 환경 (문제 영역을 해결한 재사용, 확장 가능한 라이브러리.)

MODEL 1 - REQUEST 요청에 대한 처리, 비지니스 로직 핸들링이 모두 JSP단에서 처리됨


MVC MODEL2 - MVC 구조를 웹에 적용하여 개발하는 방식


SPRING MVC - 


1) DispactherServlet: 모든 requeset를 받는 관문이다. request를 실제로 처리할 controller에게 전달하고 그 결과값을 받아서

view에게 전달하여 적절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흐름을 제어한다.


2) Handler Mapping: request url을 각각 어떤 controller가 실제로 처리할 것인지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3) controller - request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다시 DispactherServlet에게 돌려준다.


4) ModelAndView: controller 처리 결과와 그 결과를 보여줄 view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이다


5) viewResolver: view 관련 정보를 갖고 실제 view를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6) view : controller가 처리한 결과값을 보여줄 view를 생성한다.




출처: http://k9e4h.tistory.com/51 [Kim's :D]


6. Oracle 클러스터 인덱스와 넌 클러스터 인덱스의 차이 

클러스터드 인덱스 : 

실제 DB의 데이터 파일에 정렬되어 있는 상태로 디스크에 저장이 됨

테이블당 한개 


넌클러스터드 인덱스 : 

실제 DB의 데이터 파일에 정렬되지 않는 상태로 디스크에 저장이 됨

테이블당 여러개(249개)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slove8587&logNo=22043119222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7. JOIN의 종류

- 카티션 곱(Cartesian Product)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대해 연결 가능한 행을 모두 결합하는 조인 방법이며, WHERE 절에서 조인 조건절을 생략하거나 조인 조건을 잘못 설정하여 양쪽 테이블을 연결하여 조건에 만족하 는 행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 발생 합니다. 

 예) SELECT * FROM DEPT A, EMP B 


- EQUI JOIN 

 SQL 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인으로 조인 대상 테이블에서 공통 칼럼을 ‘=’ 비교를 통해 같은 값을 갖는 행에 대해서 연결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조인 방법입니다. 

 예) SELECT A.name FROM DEPT A, EMP B WHERE A.code = B.code 


- NON-EQUI JOIN 

 조인 조건에서 ‘<’,’>’, BETWEEN a AND b’와 같이 ‘=’ 조건이 아닌 다른 종류의 연산자를 사용 하는 조인 방법입니다.

  예) SELECT A.name FROM DEPT A, EMP B WHERE A.code > B.code


 - OUTER JOIN 

 두 개 이상의 테이블 조인 시 한쪽 테이블의 행에 대해 다른 쪽 테이블에 일치하는 행이 없더 라도 다른 쪽 테이블의 행을 NULL로 하여 행을 Return하는 것이 OUTER JOIN 입니다.연산자 로는 (+)기호를 사용합니다. 

 예) SELECT A.name FROM DEPT A, EMP B WHERE A.code = B.code(+)


 - SELF JOIN 

 하나의 테이블에서 두 개의 칼럼을 연결하여 EQUI JOIN을 하는 방법



반응형

'개발공부[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 면접 대비  (0) 2018.05.25

+ Recent posts